• 구례군, 관내 요양병원 관리감독 "절실", "실적 올리기 총력, 질높은 서비스 뒷전” 보호자 불만 증가
    • 구례읍 A요양병원, 보호자의 민원과 항의 빗발쳐

    •   [구례일보 신명철 선임기자] 요양병원에서 발생한 학대 및 폭행사건, 불친절, 인력부족 등으로 환자의 건강상태 악화의 사례들이 발생하고 사법처리 사례가 일어나고 있다. 

      중국 국적의 조선족 간병인이 잠을 자지 않는다는 이유로 90대 환자를 폭행했고, 폭행을 당한 90대 할머니가 이틀 후 사망한 사건 등으로 요양병원에 가족과 친지를 입원시킨 많은 보호자들의 걱정과 분노가 들끓고 있다. 

       요양병원의 문제점은 시간이 지날수록 많아지고 심각한 상황이 되고 있는데 정부와 관할관청은 방안이 없다는 이유로 지켜만 보고있는 실정이다. 

      요양병원의 허가는 도청에서, 환자의 등급인증은 공단에서, 지원은 지자체 복지과에서, 관리는 지자체 의료원에서 하고 있어 환자들의 불편민원 신고에 어려움이 많은 편이다. 민원에 대한 해당 부서들의 떠 넘기기로 접수하기도 힘들다는 민원인들의 지적이 일고 있다. 

       이런 상황은 농촌이나 소도시로 갈수록 심각해 진다. 
      전남 구례군은 초고령인구의 시골 작은 고을이다. 지자체의 노인정책에 대한 적극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요양병원에 대한 불편사항 민원과 항의는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구례읍에 위치한 A요양병원의 "낮은 의료 서비스와 눈속임적인 운영" 등 "실적올리기, 환자 체우기" 식의 행위로 가족과 친지를 입원시킨 보호자들의 마음을 울부짖게 하고있다. 

       구례읍 A요양병원의 환자 보호자는 "◉면회가 어렵다, 먼저 예약을 해야한다.(보호자가 오기전에 정리하기 위함) ◉간병인의 수가 적다.(기저귀를 바로 갈아주지 않는다. 접촉성 피부염 발생) ◉환자들의 분류, 격리가 안 된다 ◉직원들의 불친절이 도를 넘었다(똥 싼다고 식사를 적게 먹임) ◉서비스가 형식적이고 질이 안 좋다 ◉식사가 형편없다"고 울분을 터트렸다. 특히, "이사장 및 결정권자가 타지역 00시에서 B요양병원을 운영하면서 구례읍 A요양병원의 모든것을 결제 및 결정을 하고 있어 근무하고 있는 원장과 국장, 직원들이 실적 올리기에만 총력을 기울리고 있어 환자들의 편의와 서비스는 뒷전인 것 같다"고 말했다. 또한 "정부의 제도개선 및 관할관청의 관리감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 요양병원 문제 상황과 개선 필요성 

       현재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있다. 
       요양병원에서 발생한 사고와 환자 건강악화 사례를 계기로 요양병원의 환경과 간병인의 행태에 대한 사회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단편적인 실수나 예외적인 사례로 볼 것이 아니라, 체계적인 관리와 개선이 필요한 구조적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1, 요양병원의 근무 환경과 행태 문제점
       
      - 근무 환경 : 요양병원의 근로환경은 열악하다. 간병인들이 많은 환자를 돌보면서도 충분한 휴식을 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열악한 근무환경 속에서 서비스의 질이 저하된다. 

      - 간병인 행태 : 간병인 자격요건에 인성부분을 강조해야 한다. 요양병원에서 간병인들이 자신들의 편의를 위해 환자에게 부적절한 언행이 발생되어 환자들의 인권과 건강을 해칠 뿐 아니라 요양병원에 대한 신뢰를 무너뜨렸다. 


       2, 요양병원 서비스의 질과 인력문제

      - 서비스 질 : 초고령화 사회에서 요양병원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요양병원의 질이 표준화되고 고도화되어야 한다. 

      -인력부족 : 요양병원의 간병인 부족현상이 심각하다. 이로 인해 서비스의 질이 떨어지고 간병인의 과로가 발생한다. 



       요양병원의 환경 및 서비스 문제는 인력의 처우와 근무 조건, 그리고 환자에 대한 적절하고 질높은 진료 및 간병 서비스 제공 여부와 직결되어 있다. 현재 이러한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노력이 진행 중이지만 아직 부족한 편이다. 

       요양병원 시스템의 개선과 환경 조성이 필요하며, 간병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노인 인구가 증가하고 현실을 고러할 때 요양병원의 중요성은 계속해서 커질 것이다. 그러므로 인력 양성 및 법적 규제 강화, 표준화된 서비스 제공 등에 대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관련 당국과 사회의 중요한 책무라 할수 있다. 
      요양병원 문제에 대한 더 깊은 연구와 사회적 분위기 변화가 필요하며, 환자에 대해 관련 종사자들의 한층 더 높은 서비스가 필요한 시점이 아닌가 생각된다.


    Copyrights ⓒ 구례일보 & www.guryeilbo.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확대 l 축소 l 기사목록 l 프린트 l 스크랩하기
Untitled Document
  기사제보  |   광고문의  |  불편신고  |  개인정보 취급방침/이용약관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상호 : 주식회사 구례일보 / 신문등록번호 : 전남 아 00390 / 신문등록년월일, 신문발행년월일 : 2020-11-16

발행인: 신명철 / 편집인 : 신명철대표 / 청소년보호책임자 : 신명철 대표

발행소 전화번호:061-781-2256/ 팩스번호:061-782-2256/ 발행소 주소:구례군 구례읍 백련길 46-10

주소 : 전남 구례군 구례읍 백련길 46-10 l 전화번호 : 061-781-2256 l 팩스번호 : 061-782-2256

이메일 : smc9193@hanmail.net l Copyright ⓒ 2020 구례일보. All rights reserved.